분류 전체보기 (8) 썸네일형 리스트형 망원경과 쌍안경의 배율 (쉽게 쓴 버전) 이전에 망원경의 배율에 관한 포스팅을 한 적이 있었는데, 예전에 천문 동아리 회원들을 위해 쓴 것이라 지나치게 어렵고 복잡하게 쓰인 느낌이 있다. 아직 공사중인 블로그인데도 망원경의 배율로 검색해서 들어오는 경우가 있는 것을 보고 초보자를 위해 필요한 내용만 쉽게 다시 쓸 필요를 느꼈다. 망원경으로 보면 확실히 맨눈으로 보는 것보다는 크게 보인다. 얼마나 크게 보이는 것일까? 망원경을 직접 다뤄보면서 눈쪽에 대는 렌즈를 갈아끼우면 배율이 변하는 것을 보았을 것이다. 우리가 망원경으로 보는 배율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망원경 자체의(거울 또는 렌즈의) '초점 거리' 라고 하는 것과 아이피스(접안렌즈; 눈에 대고 보는 렌즈)의 초점 거리에 따라서 주어진다. 이번 글에서는 초점 거리를 가지고 배율을 계.. 적도좌표계, 적도의, 극축 정렬 이번 글은 천체의 위치를 표현하는 법에서부터 시작해 보자. 둥근 지구 위에서의 위치를 표현하려면 두 개의 요소(경도와 위도)가 필요하듯이 하늘에서 어떤 천체의 방향을 표현하려면 두 개의 요소를 써서 나타내야 한다. 다양한 기준으로 축을 잡을 수 있으므로 지평좌표계, 적도좌표계, 은하좌표계 등으로 천체의 위치를 나타낼 수 있다. 이 글에서는 지평좌표계를 간략히 설명한 뒤 적도좌표계와 적도의의 설명에 중점을 둘 것이다. 고등학교 때 지구과학을 배운 독자라면 설명하지 않아도 이미 배워서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지만 배우지 않은 사람 또한 있으니 지평좌표계부터 시작해 보자. 지평좌표계는 마치 커다란 대포를 조준하는 것이나 사람이 똑바로 서서 고개를 들고바라보는 것과 같다. 무슨 의미이냐면, 상하로 움직이는(끄덕.. 망원경의 적정 배율과 관측 한계 * 이 포스팅은 과거 천문 동아리 회원들을 위해 쓴 글을 옮긴 것으로, 입문자나 일반인이 보기에는 너무 어렵고 복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더 쉽고 간결하게 쓴 버전이 있다. 이 글을 먼저 읽는 것을 권한다. c7-archive.tistory.com/8 여름에 한강 봉사를 떠나면 시민들이 자주 물어보는 질문이 있다. "이 망원경은 몇 배에요?" 지금 스스로 답을 떠올려 보라. 분명 맨눈으로 볼 때보다 크게 보이는 것이 확실한데, 정확히 몇 배인 것인가? 관측회를 여러 번 갔다 온 이 중에서도 분명하게 답을 해주지 못하는 이가 많을 것이다. 뭔가 눈에 대고 보는 렌즈를 갈아끼면 배율이 변하던데... 까지만 떠올려도 절반은 알고 있는 것이다. 이번 글에서는 망원경의 배율을 결정하는 요소를 설명하고, 망원경과.. 천체 촬영에서의 노이즈 및 노이즈 감쇠에 대한 이론적 이해 * 이 글은 비전문적이며 얕고 넓은 주제를 다루고 있기 때문에 참고 용도로 쓰고, 제대로 된 내용은 관련 교육 자료를 보아야 한다. * 이 글은 카메라 이론과 천체 촬영에 대한 지식 없이 볼 경우 바보로 느껴질 수 있다. 이에 앞서 알아야 할 기본적인 내용은 추후 쓰도록 하겠음. 이걸 먼저 쓰는 이유는 머릿속에서 가닥이 먼저 잡혔기 때문... 천체 촬영을 처음 시작하는 사람부터 고가의 장비로 엄청난 사진을 뽑아내는 고수에 이르기까지, 노이즈를 줄이는 것은 모든 천체 촬영자들이 직면하는 끝없는 투쟁이다. 더 나은 사진을 얻기 위해서는 촬영에 따르는 노이즈를 가능한 줄여야만 하므로 노이즈가 어떻게 생기며 어떻게 없애야 하는지 알아둘 필요가 있다. 노이즈란 무엇인가? 이 단어를 들었을 때 먼저 떠오르는 뜻은 .. 관측회에서 지켜야 할 것 관측회에서 지켜야 할 기본적인 사항을 다룬 글이므로, 다들 한 번씩 읽어보는 것을 권장한다. 또한 관측회를 준비하는 임원들은 이들 사항을 모두에게 반드시 숙지시켜야 할 것이다. 한 사람이 별을 본다면 그것은 관측이지만, 관측회는 많은 사람이 관측을 위해 한 자리에 모이는 것이다. 단체 행동이므로 서로의 관측을 방해하는 행동을 해서는 안 되며 주변에 피해가 가게 해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이 자리를 잠시 빌려 머물다 떠나는 사람에 불과하다. 시민이자 경희대학교 학생으로써의 책임을 지킬 수 있도록 하자. 빛 조심 우리가 도시를 떠나 깊은 시골로 들어가는 것은 불필요한 도시의 빛으로부터 벗어나 아주 미약한 별의 빛을 보기 위해서이다. 따라서 관측을 할 때 무심코 내는 빛이 별의 빛을 덮어버리고 주변 사람의 관측.. 무엇을 볼 것인가? 관측 대상의 종류에 대하여 (개략적인 글이므로 부족한 내용과 오류가 있다. 참고용으로 쓰고 자세한 내용은 직접 더 찾아볼 것을 권한다.) 동아리에서 정기적으로 관측회를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회원들이 관측회에서 무엇을 볼 수 있는지 잘 모르고 있다. 그리고 아마추어 천문 관측의 방대한 세계를 두고 동아리 차원에서 이루어진 관측은 일부 분야에 한정되어 온 것 또한 안타까운 사실이다. 이를 어여삐 여겨 천체 관측에 대한 몇 가지 정보를 문서로 남기고자 하니 이후에 열심히 활용하기를 바라는 마음이다. 무엇을 볼 것인가? 우리가 볼 수 있는 대상은 무엇이 있는가? 다들 우리가 별을 본다는 사실은 알고 있지만 어떤 별을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그 감상, 필요한 장비, 난이도는 매우 다르다. 또한 별이 아닌 다른 하늘의 현상 또한 아마.. 테스트 글 하나 푸른발부비 테스트 포스트 테스트 이미지 하나 이전 1 다음